자바스크립트로 된 코드를 타입스크립트로 사용하고 싶어서 타입스크립트 빌드를 돌렸더니,
타입스크립트.ts 코드가 빌드결과로 나올것이라는 제 예상과 다르게 .d.ts 코드가 나왔습니다. ㅇ_ㅇ
JavaScript의 API 로써 (랩퍼역할) 타입스크립트의 타입정보만 기술된 파일이라고 하네요(걍 선언파일)
예시) jQuery나 자바스크립트 낮은 버전들을 타입스크립트에서 쓰고 싶을 때, 그 파일들을 재 작성하는 것보다 심플하게 타입 어노테이션 정보만 적혀있는 d.ts file을 생성한다고 합니다. (stackoverflow link)
.d.ts file을 사용하는 방법은 .js 와같은 디렉토리에 같은이름으로 놔두고
import * as Test from "./testdir/test";
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.
대충 이해와 사용방법을 알았으니.. 나중에 차근차근 한번 알아보도록 해야겠습니다.
https://codeday.me/ko/qa/20190501/430860.html
TypeScript .d.ts 구문 – 내보내기 및 선언 - 코드 로그
.dts 파일을 만드는 올바른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필요합니다. 저를 던진 것은 어떤 사람들은이 구문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: // lib-a.d.ts namespace My.Foo.Bar { interface IFoo {} interface IBar {} } 대 // lib-b.d.ts declare namespace My.Foo.Bar { interface IFoo {} interface IBar {} } 대 // lib-c.d.ts namesp
codeday.me
(이링크에서 declare namespace를 사용하는데, 내가 만난 .d.ts 파일도 저렇게 되어있다..)
'Dev > cod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mouse click와 mouse down 의 차이 (0) | 2019.12.02 |
---|---|
[typescript] 정적타이핑 (0) | 2019.11.18 |
[typescript] d file 이란 (0) | 2019.11.18 |
그리디 (0) | 2019.09.04 |
백트래킹 (0) | 2019.09.04 |
동적계획법 (0) | 2019.09.04 |